서피스냐 울트라북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전자기기
2014. 11. 2. 15:03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프로 3 (Microsoft Surface Pro 3)
vs
타사(주로 삼성) 울트라북 (+ 아이패드 또는 아이패드 미니)
요즘 고민하고 있는 주제입니다. 할짓이 하도 없어서 그렇지 이런 고민을 벌써부터 할 필요가 있나
내년 7월 18일 이후로 노트북 또는 서피스와 같은 컨버터블? 태블릿? PC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미리 고민해놔도 나쁠 건 없을듯.
이미 가지고 있는 노트북이 있으나, 오랜 시간의 경과로 이미 써먹을 만한 물건이 아니게 되어버렸으므로 완전히 부가적인 기기로 격하시키거나 아예 팔아버릴 예정이기 때문에, 무엇을 사든 간에 아래와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이 불가피함.
- 대항해시대 온라인과 마인크래프트를 어떤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가동.
-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 물건이어야 함.
- 이미 가지고 있는 HP 노트북이 매우 실망스러운 물건이었으므로 더이상의 후회가 있어선 안됨.
여기에 추가적으로 아래와 같은 조건이 충족되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데, 반드시 충족시켜야 되는 건 아님.
- 휴대성 (은 서피스)
- 간지 (는 서피스)
- 유니크함 (은 역시 서피스!!)
이대로라면 군말 없이 서피스를 구매하겠으나 사과밭에서 공기랑 미니가 너무 잘빠지게 나옴... 고민의 여지가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서피스의 문제점 또는 단점도 없는 것은 아니다.
- 발열 문제(?) - 3D게임 같은거 돌릴때 금방 뜨거워진다는듯. USB 선풍기가 필수라고 함.
- 12인치의 디스플레이의 애매함 - 들고 다니기에 부담스럽지는 않으나 완전히 노트북 대용으로 앉아서 몇시간이고 사용하려면 작은 화면에 눈이 튀어나오지는 않을런지 모르겠다. 2160*1440이라는데 화면 기본 배율이 150%면 당연히 이런거 싫어하는 나는 100%로 낮춰서 사용할 것이 분명한데 글씨가 보이긴 보이려는지 초금 걱정됨. 참고로 이미 있는 HP 노트북은 15.6인치, 1920*1080 화면이 달려 있음.
- 가격대 성능비 - 삼성 울트라북과 아이패드 또는 아이패드 미니를 병행하는 조합과 가격을 비교하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 울트라북으로 갈 경우 서피스보다 안정적인 성능과 안정적인 휴대성을 동시에 꾀할 수 있으나 기기가 두개가 되어버린다. 두개여도 딱히 상관 없긴 한데, 집에서 쓰던 컴을 밖에 그대로 들고 다닐 수 있는 장점은 도저히 무시하기가 힘들다. 솔직히 이게 서피스를 사고 싶은 가장 큰 장점이자 매력 포인트.
- 내가 이걸 과연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지 모르겠다. 들고 다니는게 좋아 들고 다니기만 하고, 정말 원노트라든지 문서 작성이라든지 프레젠테이션이라든지 이런거랑은 좀 거리가 있는 나인데, 뭐 쓰는 사람 마음이겠지만 과연 울트라북+패드 조합으로 갔을 때보다 만족스러운 활용을 할지, 아니면 꽉 막힌 느낌을 받을지 의심의 여지를 지울 수 없다.
이러한 점들이 상반신은 서피스를 잡으려 하고 잇으나 하반신은 내 발목을 잡고 있는, 몸이 / 이런 느낌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임. 넘어진다 그래도 이정도는 감수하고도 충분히 만족 가능할지도!? 넨씨의 의견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나왔다 이 글을 쓴 진정한 목적
2014.11.04 03:04
대항해시대 온라인과 마인크래프트를 어떤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가동.
ㄴ 대항온 2클까진 서피스로 무난하다 못해 사양도 어느정도 가능하지 싶은데 마인크는 장시간 구동시 조금 걱정되네욤.
(베이트레일 아톰 태블릿으로 1클은 옛날PC보다 잘되는듯?)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 물건이어야 함.
ㄴ 전역하기 1달전에 최신형 구입하시면 뒤떨어질 걱정은 없으실듯.
이미 가지고 있는 HP 노트북이 매우 실망스러운 물건이었으므로 더이상의 후회가 있어선 안됨.
ㄴ 앵간하면 후회 안될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휴대성
ㄴ 대부분의 태블릿 (서피스, 아이패드) 및 경량노트북 (LG그램 같은거)이면 걱정은 없으실테지만,
태블릿 구입하시려면 PC를 따로 장만하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제 소견으로는 노트북도 PC만큼 편하지 못했기때문에 태블릿으로 게임하시려면 실내에선 필요없는 고생을 하실지도.
하지만 어디 놀러가거나 하면 말이 달라집니다만... 일단 게임 플레이는 PC를 염두해두시는게 좋을거에요.
간지
ㄴ 직접 결정하시는게 가장 좋은 사안.
다른사람이 죽어라 추천해줘도 결국 마음에 드는 물건이 진리입니다.
추천이나 조언을 듣는다고 나쁜건 아닙니다만, 팔랑귀시라면 추천은 안받는쪽이 좋으실지도.
유니크함
ㄴ 이 경우는 어떻게 보시냐에 따라서 역시 달라지는 조건중 하나입니다.
비싸서 유니크할 수도 있고, 제품의 결함 등으로 유저 선호도가 낮아서 유니크할 수도 있고... 뭐 여러가지입니다만,
매우 대중적만 아니라면 적당한 선에서 유니크함을 찾아보시는것도 나쁘진 않아요.
위에는 쓰여있지 않지만 부가적인 비용에 대해서.
ㄴ 태블릿이던 노트북이던 지속적인 리소스 사용을 요구하는
게임 및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려면 쿨링제품을 부가적으로 구매해야되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또한 태블릿과 노트북의 특성은 PC보다 손이 많이가고, 유저가 사용하는 특성에 영향도 굉장히 많이 받기 때문에 이점도 신경써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케이스, 보호필름 등 여러 부가적인 옵션이 필요할 수 있음)
p.s. 태그가 신경쓰여요.
2014.11.04 03:15
여러가지 조언 및 개인적인 소견을 말씀드렸습니다만, 핵심을 말해드리자면.
1. 태블릿은 여러모로 매력적인 제품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다만, 매력적이고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한 것과는 달리 사용을 안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제 상황)
2. 게임 플레이를 중점으로 두신다면, 장점과 단점이 명확하게 존재합니다.
여행을 가시거나, 혹은 정모 등으로 집을 장시간 비우게 되신다면 태블릿이 최고의 빛을 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PC에겐 단점으로 존재합니다. 갖고다니면서 사용하는게 굉장히 어려운 물건이니까.
태블릿은 이 PC의 단점을 장점으로써 가지고 있습니다. (태블릿이 좋은 이유)
하지만, 주로 집에 계신다면 활용도는 바닥으로 곤두박질치기 매우 좋은 물건이기도 합니다.
물론 집에서도 태블릿만 사용한다면 지장은 없겠지만, 제품 특성상 지속적인 부하를 준다면 PC와는 다르게
제품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이 점은 PC와는 다르게 단점으로써 갖고 있습니다.
결론 : PC와 태블릿을 같이 사용하는 쪽이 좋을듯 합니다만, 집에서는 태블릿의 활용도가 무제한으로 추락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고민해보실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여담으로, 울트라북은 얘기 안했습니다만 그 이유는.
은근 태블릿의 단점과 PC의 단점을 전부 갖고있다고 보고있습니다.
휴대성은 태블릿에 밀리고 편의성은 PC에 밀린다고 생각하거든요.